영화 <나이브스 아웃Knives out> 줄거리 및 결말
세계적인 추리 소설가 할런 스롬비(크리스토퍼 플러머)는 85번째 생일 파티 다음 날, 자신의 저택에서 목에 칼이 꽂힌 채 사망한 채 발견된다. 경찰은 단순 자살로 보지만, 정체불명의 의뢰를 받은 사립 탐정 브누아 블랑(다니엘 크레이그)이 사건에 개입한다. 그는 파티에 참석한 가족들을 차례로 조사하며, 모두가 할런과 다툰 사실과 유산을 노릴 동기가 있음을 확인한다. 간호사 마르타 카브레라(아나 데 아르마스)는 유언 발표에서 모든 재산이 자신에게 상속된다는 소식을 듣고 혼란에 빠진다. 사건 당일, 마르타는 약을 잘못 투여했다고 믿었고, 이를 깨달은 할런은 그녀를 보호하기 위해 스스로 자살을 연출했다. 그러나 블랑의 수사로 밝혀진 진실은 전혀 달랐다. 할런의 손자 랜섬(크리스 에반스)이 유언장을 뒤집고 재산을 되찾기 위해 약을 바꿔치기했으나, 마르타는 무의식적으로 정확한 약을 투여해 할런이 죽지 않았던 것. 랜섬은 계획이 실패하자 하우스키퍼 프랜을 독살해 마르타를 범인으로 만들려 했다. 결국 블랑은 모든 진실을 파헤치고, 랜섬은 살인 및 살인미수 혐의로 체포된다. 마르타는 저택 발코니에서 가족들을 내려다보며 커피를 마시는데, 머그잔에는 “My house, my rules”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이제 재산과 집의 주인이 된 마르타의 새로운 시작을 상징한다.
등장인물
브누아 블랑(다니엘 크레이그)은 남부 억양을 쓰는 천재 사립 탐정이다. 사건의 모든 퍼즐 조각을 집요하게 맞추며 진실에 다가간다. 특유의 유머와 관찰력이 돋보인다. 마르타 카브레라(아나 데 아르마스)는 할런의 간호사이자 사건의 중심 인물이다. 거짓말을 하면 구토하는 습관 덕분에 진술의 신빙성이 높다. 성실하고 따뜻한 성격으로 할런과 가까운 관계였다. 결국 모든 재산을 상속받는다. 할런 스롬비(크리스토퍼 플러머)는 베스트셀러 추리 작가이자 가족의 가장이다. 자녀들의 무능과 의존성을 싫어하며, 재산을 모두 마르타에게 남긴다. 자신의 죽음을 통해 가족의 민낯이 드러나게 한다. 휴 랜섬 드라이즈데일(크리스 에반스) 할런의 손자이다. 잘생기고 매력적이지만 오만하고 이기적이다. 유산을 차지하려고 약물 바꿔치기와 살인을 계획했으나 실패한다. 린다 드라이즈데일(제이미 리 커티스)는 할런의 장녀이자 부동산 사업가이다. 자수성가를 자랑하지만 부친의 지원에 크게 의존했다. 리처드 드라이즈데일 (돈 존슨)는 린다의 남편이다. 외도 사실이 폭로된다. 조니 스롬비(토니 콜렛)는 할런의 며느리이다. 사회적 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재정적으로 할런에게 의존하는 인물이다. 월트 스롬비(마이클 섀넌)는 할런의 차남이다. 아버지의 출판사를 운영하지만 창작 능력은 없다. 프랜(에디 패터슨)은 저택의 하우스키퍼이다. 랜섬의 범행을 눈치채고 증거를 숨겼다가 살해당한다. 제이콥은 월트의 아들로 SNS에서 극단적 발언을 하는 10대 소년이다.
평가
<나이브스 아웃>은 라이언 존슨 감독이 고전 추리극의 형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영화다. 아가사 크리스티의 ‘누가 범인인가(whodunit)’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범인을 중반에 드러내는 파격적인 전개로 관객의 시선을 “왜”와 “어떻게”에 집중시켰다. 덕분에 단순한 범인 추리가 아닌, 계급 갈등·가족 간의 탐욕·이민자 문제 등 사회적 메시지를 녹여낼 수 있었다. 다니엘 크레이그는 제임스 본드에서 벗어나 독특한 억양과 유머를 가진 탐정을 훌륭히 연기했고, 아나 데 아르마스는 순수함과 강단을 동시에 지닌 주인공으로 호평을 받았다. 크리스 에반스의 악역 변신은 특히 신선한 충격을 주었으며, 배우들의 연기 앙상블이 영화의 완성도를 높였다. 연출 면에서는 고풍스러운 저택과 세밀한 세트 디자인이 퍼즐 같은 미스터리 분위기를 강화했다. 촬영과 음악, 의상 모두 장르의 매력을 살리면서도 현대적으로 세련되게 표현되었다. 특히 ‘거짓말을 하면 구토한다’는 설정은 긴장과 유머를 동시에 제공하는 기발한 장치였다. 비평가들은 이를 “21세기형 아가사 크리스티 오마주”라 평가하며,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 오른 것을 비롯해 각종 시상식에서 주목받았다. 제작비 4천만 달러로 전 세계 3억 달러 이상의 흥행을 거두며 상업적으로도 성공했다. 다만 일부 평론가들은 중후반부 전개가 다소 장황하다고 지적했지만, 캐릭터의 매력과 사회 풍자, 정교한 플롯이 이를 충분히 상쇄했다. 결과적으로 <나이브스 아웃>은 고전 추리의 매력과 현대적 사회 비판을 동시에 담아낸 독창적인 미스터리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