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줄거리 및 결말
갑작스러운 대지진이 서울을 덮치고, 도시 대부분은 붕괴된다. 건물은 폐허가 되었고, 생존자들은 추위와 굶주림 속에서 방황한다. 그런데 놀랍게도 황궁 아파트만 유일하게 멀쩡하게 서 있었다. 황궁 아파트에 살던 주민들은 충격 속에서도 살아남았다는 안도감에 기뻐한다. 하지만 곧 밖에서 몰려드는 외부 생존자들로 인해 식량, 물, 전기 부족 위기에 처한다. 아파트 주민들은 회의를 열어 '외부인 유입을 막자'는 의견을 모은다. 주민들은 영탁(이병헌)을 '임시 관리인'으로 뽑는다. 그는 처음에는 겸손한 척 하지만, 점점 강압적이고 독단적인 태도를 보인다. 영탁은 "우리 아파트를 지켜야 한다."는 명분으로 무장 경비를 세우고, 외부인들에게는 폭력을 행사하여 무력으로 아파트에서 쫓아낸다. 아파트 주민 중 부부인 민성(박서준)과 명화(박보영)는 원래 평범한 부부였지만, 영탁의 체제 아래서 점점 변해간다. 민성은 처음에는 규칙에 순응하지만, 외부인을 내쫓고 약탈하는 과정에서 죄책감을 느낀다. 명화는 생존을 위해 점점 냉정해지고, 남편과 가치관이 달라지기 시작한다. 영탁은 주민들에게 외부인 색출 작전을 지시하고, 아파트에 몰래 들어온 사람들을 잡아 처벌한다. 주민들은 살아남기 위해 그 명령에 복종하지만, 점점 폭력과 공포가 일상화된다. 사실 영탁은 황궁 아파트 실제 주민이 아니었다. 그는 대지진 당시 우연히 살아남아 다른 사람 집에 들어와 살고 있었다. 하지만 재난 이후 빠르게 권력을 장악했고, 주민들은 그 사실을 모른 채 따르고 있었다. 영탁의 독재가 심해지고, 주민 간에도 불신이 커진다. 민성과 명화는 서로 다른 선택을 하게 된다. 민성은 인간성을 지키려 하지만, 명화는 영탁 체제 안에서 살아남는 쪽을 택한다. 그러던 어느 날, 아파트 내부에서 큰 화재가 발생하고, 혼란 속에 주민들은 서로를 의심하며 싸운다. 영탁의 거짓말이 드러나고, 그는 쫓겨날 위기에 처하지만 끝까지 발악한다. 민성과 명화는 서로 다른 길을 걷는다. 민성은 끝까지 ‘인간답게’ 살려고 했지만, 결국 모든 것을 잃고 아파트에서 쫓겨난다. 명화는 아파트에 남지만, 더 이상 예전의 따뜻한 사람이 아니다. 아파트는 여전히 외부인을 배척하며 살아남지만, 그 안은 점점 ‘유토피아’가 아닌 폐쇄적 독재 사회가 된다.
등장인물
영탁(이병헌)은 황궁 아파트의 ‘임시 관리인’으로 선출된 인물이다. 처음엔 겸손한 태도로 주민 신뢰를 얻지만, 점점 독재적이고 폭력적인 리더가 된다. 외부인을 무자비하게 쫓아내며 “아파트를 지켜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운다. 사실 황궁 아파트의 실제 주민이 아니었던 영탁은 대지진 후 기회주의적으로 권력을 장악한 인물이다. 민성(박서준)은 황궁 아파트 주민으로, 평범한 회사원 출신이다. 아내 명화와 함께 생존하지만, 점점 변해가는 아파트 분위기에 회의감을 느낀다. 인간성을 지키려 하지만, 집단 압력 속에서 고뇌한다. 영화 후반부에 영탁 체제와 충돌한다. 명화(박보영)는 민성의 아내로, 간호사 출신이다. 처음엔 따뜻하고 이타적이지만, 점점 냉정해진다. 남편보다 현실적이고, 필요하다면 영탁에게 협력해서라도 살아남으려 한다.
평가
비평가들은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포스트 아포칼립스 배경을 인간 본성과 생존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지능적인 드라마로 활용한다.'는 평가를 내린다. 재난 영화의 스펙터클을 뛰어넘어, 부패한 인간성과 절망 속에서 피어나는 희망을 다룬 감정적 여정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초반부는 강렬한 흥미와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전개로 시작하여, 다소 무거운 흐름의 중반부를 지나, 도덕적 질문을 던지며 인간의 잔혹함과 가치 회복 가능성을 후반부에서 보여준다. 권력과 권위 숭배의 성장 과정을 묘사하는 영화로 평가하는 사람도 있다. 배우들의 열연도 큰 호평을 받았다.